Correct defining & the supernatural
https://cafe.daum.net/GUJORON/Y8b1/1 (원문 링크)
Correct defining & the supernatural
https://www.one-tab.com/page/jaPekCoFR02RIgHZofdRIw (구글 중간번역)
The teachings of Confucius are, in a word, correct defining. He taught us not to speak groundless bullshit. Language has meaning only when it is connected to a higher concept. The starting point of that connection is the sharing of events.
Speaking out of context is bullshit. Snobs' crooked will to power is the cause of bullshit. Advocating for the supernatural is an act of gaining public attention with a low cost. They define themselves as powerless in public. Since he is the weak, he thinks it is okay to speak bullshit in order to fight the tyranny of the strong. They claim a variety of nonsense, including conspiracy theories, the supernatural power, transpersonality, flat Earth, UFOs, ghosts, heaven, afterlife, and infinite power.
It is a struggle to find one's share in the middle without going to the end of the great road of truth. The same goes for witchcraft, shamanism, pseudo-religion, ultranationalism, and creation science. Oriental medicine without a verification system and religious groups without self-purification should also be criticized. Modern psychology and sociology are more like superstitions than science.
Their common goal is just to beat the opponent. They are not interested in the truth, but only in blaming, booing, and ridiculing others. If it costs them 1x to speak bullshit, it costs a scientist 10x to refute them. Snobs place traps to make his opponent spend more money and time, and if his opponent falls into these traps, he thinks he's won the game.
This is the snobs' shaking-tree outside the group. It's like a kid who doesn't have the courage to talk to a girl, so he wanders around and interrupts. Those who are just trying to win cannot participate in the high-level conversations of adults.
The easiest way to win a debate is to destroy the language. You can think of the broken windows theory. If we let them break the windows, the common property of mankind, the language, will be destroyed. Therefore, we should stay away from "The supernatural" and use language properly. This is Confucius' "Correct defining".
Aspect
https://www.one-tab.com/page/6WIan4VjSSKlfjxwvAQF8w (구글 중간번역)
Humans don't just see, they see it as a tool called aspect. Aspects include absolute and relativity,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ontology and epistemology, and deduction and induction. The difference is whether the blind man traces each part as if he were touching an elephant, or whether he sees the whole thing like a bird. As the object and the observer move respectively, the aspect difference occurs. We should not stop at saying that it depends on the aspect, we need to reason further and unify the aspect. We need to shift from the one-way specificity aspect of seeing things to the two-way universality aspect of seeing events. The observer must overcome the error of subjectivity, which is his own judgment standard, and obtain an aspect that sees the object itself as an inherent order. Rather than just looking at A, you need to train mathematical reasoning that sees as a mechanism of 'there is A, and there is B'. When the observer only explains A, he mirrors himself to the object. Instead, we can objectively explain the event by symmetrical A and B. Instead of simply saying, 'The mountain is high,' you should say symmetrically, 'The higher the mountain, the deeper the water'. It's like 'If the water is deep, whales live'. In this way, the original event can be inferred by continuing to link the symmetry to a higher level.
Idea (Notion, Thought)
https://www.one-tab.com/page/oZhoMTz_TaaocRhEp69muw(구글 중간 번역)
Idea, atom, reason, soul, utopia, reflection, sincereness, freedom, equality, peace, justice, and happiness are all ideas from Plato's Idea and Christian God. God is perfect, and what it reflects in philosophy is the Idea. Likewise, in matter it is an atom, in thought it is determinism, mechanism, and fatalism, and in humans it will be reflected as soul or reason. If humans pursue it, it is a utopia, what it gives to me is freedom, what it gives to society is peace, and what it aims for is equality and so on. All of this is just saying without any basis. Humans need idealism, but we only need to make direction judgments. Plus is difficult. Don't try to reach any goal. If you reject what is not, what remains is the correct answer.
There are three famous bullshit. The first is the supernatural that is created to bluff in front of others. The second is Idea (thought, notion), which is partly taken from the perfection of God or from Plato's Idea; The third is psychology and sociology, which make groundless claims. It is all in vain if it is not grounded in mathematics and physics. We are in a situation where we have to go on a road with only a compass without a destination. We don't need a destination to reach, we need a stage to release the overflowing energy within us. If you let go of the lies, what remains is the correct answer. We judge the direction, not the goal. The best human beings can do is to keep moving forward with a great vision. We're just increasing our interactions with the world and keeping the rally going.
It doesn't matter where you get to. Where you start is important. It is a meeting that triggers a human being, and it is the emotion you get from the meeting place. And the enthusiasm that comes as a result follows. Humans have passion and cause events in the world, and the result is not important because it appears as a probability in the interaction. The opportunity given to me is, in fact, given to me as a result of an event caused by another person, so I only repay it by creating an event and adding it to the probability of the world, and it doesn't matter who the dividend goes to.
깨달음
인간은 생각한다고 믿지만 대개 거짓이고 그냥 생각나는 것이다. 생각을 퍼즐을 맞추듯이 하나씩 조립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떠오른다. 연못에 돌을 던지면 물속에 가라앉은 것이 수면 위로 떠오르듯이 생각은 단서를 투척하면 문득 떠오르는 것이다. 극장의 스크린에 영상이 비치듯이 뇌의 스크린에 아이디어가 비친다. 그럴 때 필이 꽂히는 것이다. 깨달음은 그 저절로 떠오르는 아이디어의 패턴을 분석하여 의식적으로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것이다. 하나를 배우면 열을 안다고 했듯이 아이디어를 포드시스템으로 복제할 수 있다.
거울의 상은 반전된다. 카메라 필름도 색이 반전된다. 인간이 눈으로 본 것은 죄다 잘못 본 것이다. 이를 바로잡는 해석이 중요하다. 눈으로 본 것은 부분이고 사건은 전체다. 부분에서 전체로 갈 수는 없다. 부분의 합은 전체보다 작기 때문이다. 부분의 합에 없고 전체에 있는 것은 자원들의 결합각이다. 깨달음은 자연의 있는 그대로를 복제하여 자연의 전개하는 순서대로 인식하게 한다. 자연은 큰 것이 작은 것을 포함한다. 벼리에 갈피가 딸려간다. 기승전결로 가는 사건의 전체를 대칭의 방법으로 차곡차곡 포개서 한 줄에 꿰어 통짜덩어리로 인식하는 훈련을 해야 한다. 정상에서 전모를 보는 시선을 얻어야 한다. 귀납에서 연역으로, 인식론에서 존재론으로, 일방작용에서 상호작용으로, 상대성에서 절대성으로 사유를 갈아타지 않으면 안 된다.
의하여 위하여
자연에 의하여는 있어도 위하여는 없다. 위하여는 억지로 말을 짜맞춘 것이다. 인간은 등 뒤의 늑대에게 쫓기면서 눈앞의 꽃에 반했다고 둘러댄다. 면전의 플러스 요소는 가짜고 배후의 마이너스 원인이 진짜다. 섹스나 쾌락의 플러스 요인에 집착하는 사람은 다른 곳에 불안과 스트레스라는 마이너스 요인이 도사리고 있다. 저쪽을 피해서 이쪽으로 도망온 것이다. 누가 물어보니까 그냥 말하기 좋은 대로 말하는 것이다. 인간의 행위는 상호작용의 결과이며 상호작용은 목적이 없다. 에너지 흐름에 휩쓸리는 것이다. 파도를 타는 서퍼는 자신이 결정하는게 아니고 파도가 결정하는 것이다. 배후에서 등을 떠미는 진짜 원인은 환경과의 상호작용 형태라서 설명하기 어려우므로 눈앞의 아무 것이나 눈에 띄는대로 저것을 위하여라고 둘러대는 것이다.
엄밀히 말하면 위하여는 어법에 맞지 않는 비문이다. 위하여는 하고자 한다는 뜻이다. 그것을 할 목적으로 그렇게 한다는 말이다. 단순히 동어반복이다. 사실은 그것을 할 수 있으니까 하는 것이다. 적당한 말이 생각나지 않으면 이게 다 너를 위해서란다 하고 개소리를 시전한다. 걸핏하면 국가와 민족을 위하여 어쩌고 하며 막연한 주장을 늘어놓는다.
특히 진화생물학에서 쓰이는 위하여라는 말은 개소리다. 진화는 상호작용이므로 목적이 있는게 아니고 방향이 있을 뿐이다. 둘이 상호작용하면 톱니가 맞물려서 한 방향으로 가게 된다. 서로 연동되는 것이다. 생물은 여러 조직이 모듈 단위로 진화한다. 단백질 하나만 바뀌어도 굉장히 많은 것이 연동되어 일제히 바뀐다. 밸런스의 원리에 의하여다. 코끼리의 코가 길어지면 그 코를 감당하게 몸도 커져야 한다. 인간의 행동이든 생물의 진화든 목적이나 동기나 의도 때문이 아니고 상호작용의 밸런스 때문이다. 밸런스가 맞지 않으면 깨지고 밸런스를 맞추면 진보하게 된다.
자연에서 일어나는 일은 계의 통제가능성 때문이고 사회의 권력 때문이고 사건의 기세 때문이다. 에너지의 방향성 때문이다. 자연의 생물이든 인간사회든 밸런스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가지 않으면 자빠진다. 새가 한쪽 다리를 들고 서 있는 것은 그게 균형을 잡기 쉽기 때문이지 체온을 절약하려는 의도 때문이 아니다.
대승 소승
인간의 행위동기는 대부분 집단과의 관계에서 주어진다. 인간의 마음은 무의식적으로 사회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인간은 언제라도 사회의 의사결정 중심으로 쳐들어가려고 한다. 집단과 맞물려 돌아가려고 한다. 집단의 반응을 끌어내려고 한다. 북을 치면 소리가 난다. 사회를 쳐서 메아리를 들으려고 한다. 개인적으로 나는 이것이 좋다고 말은 하지만 알고보면 그게 집단이 원하는 연기를 한 것이다. 그 무대는 집단이 만들어준 무대이기 때문이다. '나는 집단이 싫어.' 라고 외치지만 사실은 이렇게 말해야 집단의 반응이 되돌아오지 않을까 기대하고 츤데레 행동을 한 것이다.
대승이 사건의 깨달음이라면 소승은 사물의 깨달음이다. 대승이 진보라면 소승은 보수다. 대승이 사회의 개혁을 바라는 민주당이라면 소승은 개인의 명성을 탐하는 정의당이다. 수신제가치국평천하는 잘못된 말이다. 방향이 틀렸다. 전체가 먼저고 부분은 나중이다. 평천하의 마음을 먹어야 국가의 모순이 드러나고, 국가를 다스릴 마음을 먹어야 가족의 문제가 드러나며, 가족을 다스릴 마음을 먹어야 수신의 문제가 드러난다. 그 전에는 수신이 잘못되어도 깨닫지 못한다. 천하를 해결하려고 하다가 나 하나를 해결하는 것이다. 근래에 유행하는 성찰, 진정성, 품성론은 개인숭배를 조장하는 소승적 태도다. 인간은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외부의 작용에 반응하는 존재다. 개인의 내면에서 뭐가 나온다는 것은 거짓말이다. 달마의 면벽 9년이든, 혜가의 팔 자르기든, 스님의 장좌불와든 그게 자해에 불과하다.
합리주의 실용주의, 공사구분
인생에서 무수히 갈림길에 선다. 합리와 실용, 전략과 전술, 공자와 노자, 원칙과 변칙, 공과 사의 판단은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니라 사건과 사물처럼 차원이 다른 것이다. 공유지와 사유지는 다르다. 공적공간에서 해야하는 행동과 사적공간에서 허용되는 행동은 다르다. 광장과 안방은 다르다. 핸들은 언제라도 머리에 있고 꼬리에 없다. 개인적으로 아는 사람에게 공부 열심히 해서 명문대 가라고 말할 수 있지만 공적공간에서 그런 말을 하면 안 된다. 모든 사람이 서울대 들어갈 수는 없기 때문이다. 괜희 경쟁률만 올라가고 막대한 사회적 비용이 지불된다. 가까운 사람이 개인적으로 질문해오면 신중하게 판단해서 실용적으로 해결하라고 조언하지만 공적공간에서는 냉정하게 인류전체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조언해야 한다. 개인적으로는 참고 견뎌라고 말할 사안도 공적 공간에서는 폭로하고 고발하라고 말하는게 맞다. 공적인 발언은 합리주의를 따르고 사적인 발언은 실용주의를 따른다. 공적 발언은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증대시키는 쪽으로 유도하고 사적 발언은 실제로 본인에게 도움이 되는 조언을 해준다. 공적공간에서는 상호작용을 거쳐 확률 속에서 용해되므로 확률에 기여하는 답을 해야 한다. 공적공간에서 공자는 가르치고 노자는 가르치지 않는다. 전략은 가르치고 전술은 가르치지 않는다. 광장에서의 매너는 가르치고 침실에서의 테크닉은 가르치지 않는다. 합리는 함께 패스를 연습해야 하지만 실용은 각자 눈치껏 하는 것이다. 원칙은 가르치고 변칙은 각자 알아서 하는 것이다. 오자병법은 가르치고 손자병법은 눈치껏 하는 것이다. 정석은 가르치고 꼼수는 몰라도 된다. 공사구분을 해야 한다. 핸들은 언제나 머리에 있다. 공자가 머리, 노자는 꼬리다. 합리가 머리, 실용은 꼬리다. 원칙은 머리, 변칙은 꼬리다. 공은 머리, 사는 꼬리다. 머리의 원칙을 교과서에서 배운 다음 꼬리의 변칙은 현장에서 눈치껏 융통성을 발휘하면 된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