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cision making
Decision making
Everything in the world is made up of events, and events are made up of the connection of decision-making. Decision-making is, like a computer circuit, continuing to make a choice at a fork in the road. What we call matter is that the same event is repeated in the same place. Just as a movie is projected on a screen, the world is played in space and time. Decision-making takes place across five layers of system, mechanism, structure, action, and code within a single event. Among them, the third structure is determined, the system and mechanism are set in advance, and the action and code are executed.
The system draws energy into the system, the mechanism puts a handle in the inner core, the structure turns the handle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space', the action proceeds the 'sequence of time', and the code is the 'sequence of the event' To derive the results. Structure (force) takes place in a small central location, and action (motion) transmits it to the whole. When a person falls on the ice, abstractly, the center of gravity falls. The shaking of the center of gravity is the structure (force), and as a result, the falling of the body is the action (motion). Before that, deriving the center of gravity is the mechanism(mass), and before that, the person facing the ice is the system(density).
The system imports resources from the outside, the mechanism arranges it internally, the structure sets the order, the action executes it repeatedly, and the code is finalized and submitted. In an event, the inconsistency of energy inside a closed system is processed by decision-making in five steps (system, mechanism, structure, action, and code). As a result, the external force is reflected back or distributed evenly inside, or converted into heat, light and waves and sent out. Failure to do this will cause the system to break.
superstructure: system, mechanism .. setting of order decisionmaking: structure .. order substructure: action, code .. playing of order
The order of the structure is responsible for the key decision-making of the entire event. If the superstructure of system-mechanism-structure is a predecessor task, structure-action-code is a successor task. The core work is done in structure. For example, the system means that the people involved in the case gather in court, the mechanism is the entity that makes a judgment, the structure is the sentencing in the court, the action is that the criminal gets a prison sentence, and the code is the result of fulfilling the sentence .
In the case of an hourglass, the structure is the central constriction. The system is to trap the sand in a glass bottle, the mechanism is to press it down by gravity, the structure is to let the sand go through the hole, the action is to let the sand fall down, and the code is to put the sand on the floor. Critical decision-making takes place at the tip like a needle. This is like the blade of a sword. A tool, be it a spoon or a cup, has a point of physical contact with the user. And the tip determines the performance of the tool. Like an hourglass, there must be an X-shaped point with a constricted center. Human tools implement only system-mechanism-structure, and structure-action-code exists in the object the tool works on, so the blade of the tool is all sharp. There is always a point of contact that determines the performance of a tool.
System (density) and mechanism (mass) organize structure (force), and action (motion) and code (quantity) deliver structure (force). After all, the subject that moves the world is structure (force). A force changes the direction of energy and increases its speed. The event creates a closed system and gives the rigid body the properties of a fluid, concentrating the force on one place. It also converges angular momentum and squeezes energy. Decision making makes the inside of the system homogeneous so that the two plates of the scale are symmetrical and the axis is moved to select one of them.
Decision making can be described as ‘( T )’. Here, ‘(, )’ is the input and output of energy. 'system' inputs and 'code' outputs. Here, ‘T’ represents the axis and symmetry of the balance scale. That is, 'T' means balance. A vertical center supports two horizontally symmetrical plates. A steelyard generates a force by hanging a weighing object on its short arm, and moves a weight with its long arm on the opposite side to generate motion. Force is the product of motion and distance.
All beings in nature have ‘( T )’ inside. Even if it is a stone lying still, gravity and mass are acting on it. Everything has a point of contact and it is like the blade of a knife, like the nib of a ballpoint pen, like the needle of a forearm, and like a firing pin that strikes a gun detonator. There is a part where the arrow and the string meet. This is the part where '凹' and '凸' meet. By controlling that part, the product of the distance traveled and the force are exchanged. A stone has it inside in the form of a center of gravity, but when people use it as a tool, it is exposed outside. Exposing the inner core to the outside is the trigger of the event.
The strategy is to give the substructure and receive the superstructure. Superstructure 1 and Substructure 2 are symmetrical. Symmetry is exchanged for equivalents. Even if the side with the superstructure has the same energy, it wins over the substructure. Because it costs less to use. The superstructure is controlled with only one decision-making, but the substructure requires two decision-makings, so the decision-making cost of the substructure is higher.
For example, IKEA furniture is assembled by consumers. Therefore, it is disadvantageous if the consumer buys the assembly at the same price as the finished product. The strategy is to give the distance of movement and get the force instead. Distance of movement and force are equivalent, but force is more efficient. This is equivalent to losing two games in the short run and winning one game in the long run instead. They lose 2 games locally and win 1 game overall instead. It is like an exchange of rationale and practical interest. Exchanges immediate interests for later power. We should give up Lao-tzu's practicality and instead obtain Confucius's rationality. If you do the opposite, you lose the initiative. It is equivalent, but rather at a loss. It's like the transportation cost of one 10-liter container is cheaper than two 5-liter ones.
That is, even though they are equivalent, there is a difference in decision-making costs. This is who takes the initiative. In the case of Go, the first black is advantageous, and the dealer also has an advantage in casinos. There is an advantage as much as the cost of initiative. All games can be won by creating initiative. In the game, we close the system, turn the rigid body into a fluid, believe in mathematics, and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to increase the probability, repeat rational decision-making, and perform long-term battles to win. However, to avoid stress, ordinary people prefer luck rather than rational decision making. It is important not to avoid stress and to make decisions calmly.
의미 가치
사건을 다음 단계로 연결하는 것이 의미다. 인간은 쾌락이나 보상을 추구하는 동물이 아니라 의미를 추구하는 동물이다. 견주는 보상을 주는 방법으로 강아지를 훈련시키지만 이는 강아지가 훈련의 의미를 깨닫지 못하기 때문에 쓰는 궁여지책이고 강아지가 의미를 깨달으면 보상을 주지 않아도 열심히 한다. 천재견이 그러하다. 심리학자들이 말하는 야망, 의도, 목적, 동기, 쾌락, 탐욕, 욕망 따위는 개소리고 인간은 의미를 추구한다. 의미를 모르기 때문에 온갖 말이 다 나오는 것이다.
의미는 사건을 다음 단계로 연결한다. 소도 누울 자리를 보고 다리를 뻗는다고 했다. 국가도 주변국들 중에서 만만한 배후지를 보고 전략을 세운다. 강국을 등지고 약소국을 바라본다. 길은 막다른 길보다 연결된 길이 좋다. 사건이 연결되어 의미를 달성했을 때 인간은 전율한다. 도박판에서 돈을 따면 전율한다. 다음 판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돈을 땄다는 사실보다 다음 사건과 연결된다는 점이 더 중요하다. 연결될 때 전율한다. 첫 키스의 추억처럼 강렬하다. 다음 데이트와 연결되기 때문이다. 호르몬이 쏟아지고 에너지가 분출한다. 설레이고 흥분하고 기분이 업된다.
인간을 움직이는 것은 사건의 연결에 따른 의미, 의미의 포착에 따른 전율, 전율에 중독된 데 따른 열정, 열정을 드러내는 매력이다. 의미를 보지 못하면 시큰둥하다. 포기하게 된다. 동기나 보상은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거나 증명하려는 것이며 이는 열등의식을 들키는 행동이다. 주체적인 판단이 아니다. 어른들에게 인정받으려는 어린이의 행동이다. 남들이 알아주기를 바라는 점에서 자존감이 낮은 사람의 행동이다.
인간의 행위하는 목적은 자연의 큰 흐름에 올라타고 눈앞의 이득과 나중의 권력 사이에서 바꿔치기를 계속하여 사건을 부단히 다음 게임으로 연결시켜 가는 것이다. 이때 바꿔치기 할 눈앞의 이득과 장래의 주도권 사이에 가중치를 판단하는게 가치다. 의미는 연결하고 가치는 선택한다. 의미가 사건의 연결이라면 가치는 갈림길에서의 선택이다. 단기전보다 장기전, 전술보다 전략, 실용보다 합리, 결과보다 원인, 단절보다 연결, 부분보다 전체가 가치가 있다. 주변과 연결되는 촉수가 많은 쪽을 선택해야 한다. 서로 공유하는 부분을 차지해야 한다. 모든 사건은 거기서 격발되기 때문이다.
전략 전술
전투는 전장 안에서 벌어지지만 결과를 받아들이는 것은 다른 문제다. 전장 바깥의 요인을 움직여서 적이 최종적으로 패배를 납득하고 결과를 받아들이도록 하는 완벽한 승리를 끌어내는 것이 전략이라면, 전장 안에서 주어진 자원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게 하는 것은 전술이다. 전략은 외부를 연결하여 절대적인 힘의 우위를 만들어내고, 전술은 내부를 단절하여 상대적인 힘의 균형을 만들어낸다. 전략이 전술에 앞선다. 전략으로 큰 그림을 그리고 전술로 세부를 확정한다. 전략이 전술보다 커버하는 범위가 크다. 많은 숫자와 강한 힘으로 이길 싸움을 이기는 것은 전략이고, 적은 숫자와 약한 힘으로 질 싸움을 지지 않는 것은 전술이다.
사람들이 전략보다 전술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이론적 확신의 부족 때문이다. 장기전을 수행하며 끝까지 전략을 밀어붙일 배짱과 용기가 없고, 큰 그림을 그릴 지혜가 없기 때문이다. 작은 전투를 내주고 큰 연결을 차지해야 하는데 작은 전투를 지면 군대의 사기가 떨어지고 왕에게 지휘권을 빼앗기는 수가 있다. 이 문제는 충분한 훈련과 정비된 시스템으로 해결해야 한다. 전략은 눈에 보이는 작은 실리를 희생하고 대신으로 보이지 않는 큰 연결을 얻은 다음 자신이 가진 전력을 몽땅 쏟아부어 최후의 일전으로 이기는 것이다. 외부 변수를 줄여서 피아간에 팽팽한 밸런스를 유도하고 저울의 축을 만든 다음 그 축을 선점하고 그 축의 이동에 따른 기세의 힘으로 밀어붙인다. 요행수를 기대할 수 있는 외부의 변수가 사라졌으므로 적은 결과를 받아들일 수 밖에 없다. 상부구조에서의 질-입자-힘이 전략이라면 하부구조의 힘-운동-량이 전술이다. 전략 안에서 전술을 구사하면 흥하고 전략 없이 전술만 구사하면 전투에 이기고 전쟁에 진다.
일원론
구조론은 일원론이다. 사물은 둘이지만 사건은 하나다. 결과는 여럿이지만 원인은 하나다. 과녁은 여럿이지만 활은 하나다. 일방작용으로 보면 여럿이지만 상호작용으로 보면 하나다. 배는 이물과 고물이 있지만 키는 하나고, 자동차는 전진과 후진이 있지만 핸들은 하나고, 전기는 ON과 OFF가 있지만 스위치는 하나다. 인간이 사건에 개입하는 방식은 대칭의 둘이다. YES 아니면 NO다. ON 아니면 OFF다. 삶 아니면 죽음이다. 성공 아니면 실패다. 그 개입의 결과는 여럿이다. 하나의 자동차를 두고 인간이 타거나 타지 않거나 두 가지를 판단하며 그 자동차로 갈 수 있는 행선지는 여럿이다. 일원론이냐, 이원론이냐, 다원론이냐 하는 논쟁은 사건의 진행절차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데 따른 착오다. 사건은 언제나 하나이고, 사건에 대한 인간의 입장은 언제나 둘이며, 결과로 얻어지는 사물은 여럿이다. 각자 다른 곳을 보고 있는 것이다. 관점의 혼선이다. 일방작용이 아니라 상호작용으로 보는 눈을 얻어야 한다.
일원론 - 하나의 사건
이원론 - 인간의 두 가지 개입방법
다원론 - 다양한 사건의 결과
시작은 하나요 과정은 둘이요 결과는 여럿이다. 일원론, 이차식, 다양형이라고 해야 한다. 각각 으뜸, 버금, 딸림이다. 여럿은 반드시 둘로 좁혀지고, 둘은 반드시 하나의 근본으로 돌아간다. 근본이 되는 하나의 벼리를 찾지 못하였다면 사유를 충분히 밀어붙이지 못한 것이다. 사람들이 다원론을 좋아하는 것은 사건의 결과측에 개입하려는 비겁한 잔꾀 때문이다. 제사가 끝나고 음복할 때 나타나서 다양한 음식을 얻어먹으려는 것이다. 그 제사의 주최측은 일원론으로 진행하는데 말이다. 종교의 승려나 학교의 교사나 사회의 엘리트가 이원론을 좋아하는 이유는 사람을 제압하고 통제할 의도 때문이다. 인간들이 도무지 말을 들어먹지 않기 때문에 YES냐 NO냐 하고 윽박질러 선택을 강요한다. 말 안듣는 녀석을 내쫓으려면 안과 밖의 경계를 그어서 이원론을 구사해야 한다. 다원론은 약자의 살아남으려는 처세술이고, 이원론은 강자의 사람을 제압하는 기술이다. 그들은 애초에 진리와 상관없는 자기소개를 하고 있다. 자연 그대로의 모습은 일원론이다. 사건을 일으키는 에너지의 공급라인에 잡혀 있기 때문이다. 통제해야 하는 에너지원이 하나이므로 사건이 하나인 것이다.
일의성
주사위를 한 번 던져서 눈을 결정하는 것이 일의성이다. 우리는 인과율을 배워서 뭐든 둘로 나누려고 하는 습관이 있다. 사실은 치고 받는 둘이 아니고 랠리가 이어지는 하나다. 연결을 보면 1인데 단절을 보므로 2로 착각된다. 찍는 도장과 찍히는 무늬는 한 번에 결정된다. 찍고 난 다음에 찍히는게 아니고 찍는 동시에 찍힌다. 실제로는 시간차가 없다. 시간차는 사건이 증폭되어 외부로 전달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원인과 결과는 동시에 성립하지만 교통위반 범칙금이 날아오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 떡잎이 자라서 펼쳐지는 데는 많은 시간이 걸리지만 씨앗을 조사해보면 배아에 이미 잎이 숨어 있다. 없던 떡잎이 자라난게 아니고 숨어있던 떡잎이 겉으로 드러난 것이다. 인과의 법칙에 시간이 걸린다는 것은 착각이다. 동시에 결정되고 시간이 지난 후에 확인된다. 원인 다음에 결과가 오는게 아니고 원인과 결과가 동시에 성립하지만 원인 다음에 결과가 확인된다. 원인은 전체에 해당되고 결과는 부분에 나타나기 때문에 원인은 미리 찍어도 되고 결과는 나중의 발표를 기다려야 하는 것이다. 입시에 붙었든 떨어졌든 원인을 우리는 알고 있다. 합격이라도 공부탓, 불합격이라도 공부탓이다. 그러므로 원인은 미리 찍어도 된다. 결과는 발표를 보고 말해야 한다.
전후, 좌우, 상하, 경중, 내외, 대소 등의 둘씩 짝지어져 대칭되는 개념들은 모두 둘을 통일하는 하나의 토대가 있다. 전후에는 시간적 순서가 있고, 좌우에는 공간적 방향이 있고, 상하는 단계가 있고, 경중은 무게가 있고, 내외는 경계가 있고, 대소는 크기가 있다. 사물은 둘이지만 사건은 하나다. 세상은 접혀 있는 것이 펼쳐지듯이 일의적으로 일어난다. 단번에 결정된다. 낙하산이 펼쳐지듯이 확 펴진다. 그러므로 말단부에서 용을 써봤자 헛일이다. 상부구조에서 잘하고 앞선단계에서 잘해야 한다. 결과측이 아니라 원인측에서 잘해야 한다. 목줄을 쥔 사람이 잘 컨트롤 해야 한다.
언어, 담론, 전제 진술
언어는 사건을 반영한다. 짧은 외마디 비명소리라도 그 안에는 사건이 반영되어 질, 입자, 힘 ,운동, 량이 갖추어 있다. 아기가 꺅! 하고 소리를 질러도 그게 갖추어진 문장이다. 많은 부분이 숨겨지고 생략된다. 그 숨겨지고 생략된 것을 보충하여 갖추어진 완전체 문장으로 만드는 것이 담론이다. 담론은 조건문과 반복문의 호응으로 이루어진다. 낯선 사람에게 갑자기 말을 걸면 이상하고 왜 내가 당신에게 말을 하는지를 설명하는 것이 조건문이다. 말을 하려면 일단 상대방을 테이블에 앉게 만들어야 한다. 나의 말에 귀를 기울이게 만들어야 한다. 한국사람들은 고향이 어디냐고 물어서 뭔가 일치하는게 찾아지면 그것을 빌미로 말을 건다. 영국인들은 초면에 정치이야기나 종교이야기를 하면 실례가 되므로 두 시간 동안 날씨 이야기만 하다가 헤어진다. 반복문은 조건문의 부름에 응답하는 것이다. 인간의 언어는 부름과 응답, 질문과 대답, 조건문과 반복문의 호응이다. 한시로 말하면 댓구다. 주거니 받거니 하며 말대꾸를 하는 것이 언어다. 소설이나 칼럼처럼 혼자 일방적으로 말할 때는 자문자답을 해야 한다. 자문이 조건문이면 자답이 반복문이다. 명제는 전제와 진술이 호응되어야 한다. 담론이 다른 사람에게 말을 거는데 따른 갖추어진 형식이라면 명제는 일방적 선언에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갖추어진 형식이다. 먼저 전제를 깔아서 상대를 부르고 진술을 쳐서 답해야 한다. 전제로 호출하고 진술로 호응하는 것이다. 전제는 판단조건을 제공하고 진술은 판단내용을 전달한다. 진술 안에서 다시 주어와 목적어의 대칭, 동사와 동사의 대칭, 화자와 청자의 대칭이 숨어 있다.
말을 하는 것은 활을 쏘는 것과 같다. 담론은 궁수가 활을 잡고, 명제는 활에 화살을 매긴다. 주어의 활로 동사의 화살을 목적어의 과녁에 쏠까요?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