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와 저절로
세상은 저절로 만들어졌다. 생물은 저절로 진화했다. 자연의 변화는 저절로 일어난다. 저절로는 힘이 세다. 하느님도 저절로 앞에서는 한 수 접어준다고 한다. 그런 저절로도 약점은 있다. 신은 전지전능 하다지만 저절로는 자기가 할 수 있는 것만 한다. 저절로는 플러스를 할 수 없고 마이너스만 가능하다. 우리는 저절로의 성질을 파악하여 자연의 변화를 예측하고 통제할 수 있다.
인간의 작위는 저절로가 아니다. 목적이 있고 의도가 있다. 그런데 일이 커지면 인간의 통제력을 넘어서 저절로가 되어버린다. 이기려고 했는데 지고 살려고 했는데 죽는다. 언제나 의도와 반대로 된다. 부모가 자식을 뒷바라지 할 수는 있지만 군대를 대신 가주지는 못한다. 결혼을 대신 해주지는 못한다. 부모가 스펙을 밀어줄 수는 있지만 시험은 본인이 치러야 한다. 인생의 결정적인 장면에는 언제나 저절로가 앞을 막아선다. 저절로라는 귀신을 때려잡지 않으면 안 된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등 많은 부분이 저절로에 지배된다. 처음에는 의도를 가지고 시작하지만 일이 커져서 인간의 손을 떠나버린다. 자식은 부모 품을 떠나고, 어린 새는 자라서 둥지를 떠난다. 인간에게서 독립하여 자연법칙의 지배를 받는다. 인간의 의도가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되는 것을 더 잘 되게 할 뿐 안 되는 것을 되게 할 수는 없다. 인간의 의도와 자연의 저절로가 일치하면 흥하고 인간이 저절로를 거슬러서 역주행 하면 망한다. 순천자는 흥하고 역천자는 망한다.
저절로만 믿고 손을 놓아도 좋지 않다. 경쟁자는 저절로에 인위를 개입시켜 더 잘 되게 하는 방법으로 당신을 엿먹일 수 있다. 저절로 믿다가 망한게 신자유주의에 시장만능주의에 작은정부론이다. 소련은 범국가적으로 지원하는데 미국은 저절로만 믿다가 당한 것이 스푸트니크 충격이다. 저절로만 믿고 작은 정부를 하다가 중국에 반도체산업을 뺏겼다. 전쟁은 저절로 이기는게 아니고 이기려고 해야 이긴다.
저절로는 닫힌계 안에서 작동한다. 외부를 닫아걸고 내부의 자체논리로 움직인다. 내부를 쥐어짜서 할 수 있는게 많지 않다. 저절로는 결국 뻔한 길로 간다. 그것은 마이너스다. 닫힌계 내부에는 대칭이 있고 대칭은 축을 도출하며 계 내부에 모순이 발생하면 축을 이동시켜서 모순을 해소한다. 축의 이동에 따른 관성력이 또다른 모순을 야기하므로 모순이 외부로 배출될 때까지 의사결정은 5회에 걸쳐 반복하여 일어나며 그때마다 변화에 참여하는 영역은 의사결정비용 만큼 줄어든다. 최종적으로는 빛과 열로 변하여 외부로 빠져나간다. 열역학이 이 점을 포착한게 엔트로피 증가다.
모순이 사건의 원인이며 모순의 해소로 사건은 종결된다. 모순을 판단하는 단위가 계다. 인간은 열린계에서 목적과 의도를 가지고 작위적으로 행동하는데 익숙해서 저절로를 놓친다. 맛이 날때까지 양념을 때려넣는다. 음식맛은 양념맛의 집합이다. 양념은 고유한 맛이 있다. 변화의 원인을 사물 내부의 고유한 속성에서 찾으려고 한다. 소금은 짜고 설탕은 달다. 원인은 소금에 있고 설탕에 있다. 원래 그렇다. 거기가 탐구의 한계다. 더 이상 치고나가지 못한다. 빛은 파동의 간격을 조절하여 한꺼번에 백만가지 색깔을 만들어 내는데 말이다. 귀납으로 도달된 양념종류 몇 가지로는 연역으로 복제된 백만대군을 이길 수 없다. 허무해진다. 사물 내부의 고유한 속성에서 원인을 찾으면 반드시 어떤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한계를 만나게 되며 '원래 그렇다. 에라 모르겠다.'로 정리된다. 틀렸다. 세상에 원래 그런 것은 없다. 변화의 원인은 사건 내부의 저절로에 있다. 고유한 속성이라는 것은 얼버무린 말이다. 상대적인 관계가 모든 것의 원인이다.
모든 원인은 계 내부의 구조적 모순이다. 밸런스가 틀어져서 새로운 밸런스로 이동하는 것이 원인이다. 내부의 틀어진 밸런스가 원인이므로 우리는 밸런스를 조정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외부에 변인이 있을 경우 더 큰 단위로 닫힌계를 지정하면 내부로 바뀌므로 역시 변인을 통제할 수 있다. 개인 내부에 밸런스가 있다. 개인에 원인이 없으면 집단 내부에 있고, 집단에 없으면 더 큰 집단 내부에 있다. 더 큰 단위로 올라가서 더 크게 판을 벌이고 장기전을 하면 답을 찾을 수 있다.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